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5

조선시대 시간측정 기술사 (자격루, 앙부일구, 혼천의) 조선시대는 과학 기술의 황금기로 불릴 만큼 다양한 천문, 시간 측정 기구들이 개발되었습니다. 특히 자격루, 앙부일구, 혼천의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과학 유산으로, 조선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정밀한 시간과 우주 인식 체계를 구축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시간 측정 기술의 발전 배경과 함께 자격루, 앙부일구, 혼천의의 원리와 의미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자격루: 자동으로 시간을 알리는 물시계자격루는 조선 세종 시대의 과학자 장영실이 제작한 자동 물시계로, 한국 과학기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유산입니다. 기존의 물시계는 수동적으로 물이 떨어지는 양에 따라 시간을 측정했으나, 자격루는 자동으로 물이 떨어지고, 종을 치며 시각을 알리는 시스템을 갖춘 혁신적인 발명품이었습니다.자격루는 다음과.. 2025. 8. 6.
조선시대, 불꽃 속에 피어난 또 다른 삶의 마무리, '다비(茶毘)'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조선시대의 장례 문화와는 조금 다른, 하지만 분명히 존재했던 흥미로운 장례 방식인 '다비(茶毘)'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려 합니다. '다비'라고 하면 아마 불교식 화장을 떠올리실 텐데요, 유교의 나라 조선에서 과연 다비가 어떻게 행해졌을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다비, 그 깊은 불교적 의미를 담다'다비'는 산스크리트어 'Jhapita'에서 유래한 말로, '불태우다', '연소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단순한 소각을 넘어, 불교에서는 죽은 이가 삶의 번뇌와 미혹을 모두 불태워 해탈과 열반에 들기를 염원하는 숭고한 의식으로 여깁니다. 부처님께서도 다비로 장례를 치르셨기에, 스님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장례 절차로 자리 잡았죠.유교의 나라, 조선에서 다비는 어떻게 존재했을까?조선은 유교를 국교.. 2025. 7. 21.
세계가 주목한 종묘제례악, 지금 알아보자 종묘제례악은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제사 의식에서 연주되던 음악으로,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전통예술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그 역사성과 예술성은 전 세계 학자들과 예술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한국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상징하는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종묘제례악의 정의, 유네스코 등재 배경, 그리고 그 예술적·문화적 가치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종묘제례악이란 무엇인가?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조선시대 왕실의 종묘에서 행해지는 제사 의식에서 사용된 음악, 무용, 의식을 통합한 복합예술입니다. 이 음악은 왕과 왕비의 혼령을 기리기 위해 연주되며, 그 구성은 악(음악), 가(노래), 무(춤)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종묘제례악은 고려시대에서 시작된 제례음악.. 2025. 6. 17.
조선시대판 해양 백과사전?! 정약전의 '자산어보' 완전 해부! 조금 특별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고 왔어요. 혹시 조선시대에도 어류 도감이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정약전 선생님이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시며 쓰신 놀라운 책, '자산어보(玆山魚譜)' 이야기입니다! 함께 그 매력 속으로 빠져볼까요?흑산도의 물고기 박사, 정약전! 🎣정약전(1758~1816) 선생님은 조선 후기의 유명한 학자셨는데요, 안타깝게도 신유박해로 인해 머나먼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되셨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좌절만 하신 것이 아니라, 흑산도 주변의 풍부한 해양 생물에 주목하시고 연구를 시작하셨다고 해요. '자산'은 정약전 선생님이 흑산도를 애틋하게 부르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전해집니다.흑산도 바다 생물의 모든 것! 📚그렇게 탄생한 '자산어보'에는 흑산도 근처 바다에 .. 2025. 5. 28.